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 Study/C

자료형_1

자료형이란?

  - 자료형은 데이터를 표현하는 기준. 때문에 변수도 상수도 자료형에 근거

  - 자료형은 변수선언에 사용하는 것.

 

 

기본 자료형의 종류와 데이터의 범위 

 

 

 

참고로 C의 표준을 정하는 ANSI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도로만 자료형의 크기를 표준화하고 있다.

"short와 int는 최소 2바이트이되, int는 short와 크기가 같거나 더 커야 한다."

즉, 자료형 별 크기를 정확히 제한하고 있지 않다.

 

 

이렇게 많은 수의 자료형을 제공하는 이유는?

  - 데이터의 표현방식이 다르므로, 최소 둘 이상의 자료형이 필요함.

  - 메모리 공간의 사용을 위해서 다양한 크기의 자료형이 필요함.

 

 

연산자 sizeof

  - sizeof를 이용하면 자료형의 크기를 확인 할수 있다.

 

 

정수를 표현 및 처리하기 위한 일반적인 자료형의 선택

  - 상황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CPU가 처리하기에 가장 적합한 크기의 정수 자료형을 int로 정의. 따라서 int형 연산의 속도가 다른 자료형의

   연산속도에 비해서 동일하거나 더 빠르다."

  "데이터의 양이 많아서 연산속도보다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더 중요한 데이터들은 char형 변수나 short형 변수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실수를 표현 및 처리하기 위한 일반적인 자료형의 선택

  - 실수 자료형의 선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정밀도'.

    여기서 정밀도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를 뜻한다.

 

 

 

"정수 자료형에서는 int를 보편적으로 선택하듯이, 실수 자료형에서도 보편적으로 선택하는 자료형이 double형(과거에는 float형)이다."

 

 

Unsigned를 붙여서 0과 양의 정수만 표현하게 할 수 있다.

  - 정수 자료형의 이름 앞에만 unsigned를 붙일 수 있다.

  - unsigned가 붙으면, MSB도 데이터의 크기를 표현하는데 사용이 된다.

  - 따라서 표현할 수 있는 값이 0이상의 범위로 두배가 된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머들은 sign라는 키워드를 생략한다.

but, char형은 예외일 수 있다.

  - 다른 정수 자료형들과 달리 char는 signed char와 다른 선언 일 수도 있다. char를 unsigned char로 처리하는 컴파일러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char형 변수를 선언해서 음의 정수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signed 선언을 추가하기도 함.

 

 

unsigned 선언을 추가하여 정수 자료형의 종류를 구분하면

 

 

- 윤성우 저, 열혈강의 C 프로그래밍 中 -

'Programming Study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_2  (0) 2014.09.01
함수_1  (0) 2014.09.01
continue & break  (0) 2014.09.01
자료형_2  (0) 2014.09.01
C 언어의 장점과 단점  (0) 201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