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 Study/C

자료형_2

문자의 표현은 아스키(ASCII)코드로.

  - C언어는 '미국 표준 협회(ANSI)'에 의해서 제정된 '아스키코드'라는 표준을 선택해서 문자를 표현.

  - 아스키코드는 알파벳과 일부 특수문자를 포함하여 총 128개의 문자로 이뤄져 있다.

 

char는 문자형인가 아님 정수형인가

  - char형은 문자의 표현을 목적으로 정의된 자료이기 때문에 '문자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하지만 char형은 정수형이다. 문자도 정수의 형태로 표현이 되고, 실제로 char형 변수에 저장되는 것은 정수이다.

 

 

 

상수

  - 상수란, 그 이름이 의미하듯이 변경이 불가능한 데이터를 뜻함.

  - 상수는 크게 이름이 있는 상수와 이름이 없는 상수로 나뉜다.

  - 상수 역시 앞서 설명한 int, double과 같은 자료형을 근거로 표현된다.

 

이름을 지니지 않는 리터럴(Literal)상수

  - 변수와 달리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이름이 없다.

  - int형으로 표현 가능한 정수형 상수는 int형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기로 약속 되어 있다.

  - double형으로 표현 가능한 실수형 상수는 double형으로 저장하기로 약속되어 있다.

 

접미사를 이용한 다양한 상수의 표현 

 

 

 

이름을 지니는 심볼릭(Symbolic) 상수  :  const 상수

  - 심볼릭 상수는 변수와 마찬가지로 이름을 지니는 상수

 

심볼릭 상수를 표현하는 방법

  - const 키워드를 사용하는 방법

  - 매크로를 이용하는 방법

 

변수와 상수의 구분을 용이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는 관례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표시하고, 둘이상의 단어로 연결할 때에는 MY_AGE와 같이 언더바를 이용해서

   두 단어를 구분하는 것이 관례이다."

 

 

 

- 윤성우 저, 열혈강의 C 프로그래밍 中 -

'Programming Study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_2  (0) 2014.09.01
함수_1  (0) 2014.09.01
continue & break  (0) 2014.09.01
자료형_1  (0) 2014.09.01
C 언어의 장점과 단점  (0) 2014.08.30